<기사인용>
코로나19 장기화로 교통복지 차원에서 지자체 공공자전거의 공공성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그러나 실제 수원시는 지난 2019년 9월, 고양시는 지난 5월 적자를 이유로 공공자전거 사업을 종료했다. 안산시는 올해까지만 공공자전거를 운영한 뒤 종료하기로 했다. 서울시도 공공자전거 '따릉이' 운영을 이어가고는 있지만 매년 적자를 내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적자 규모가 100억원에 달한 상태다.
공공자전거 사업은 교통복지라는 '공공성'이 핵심 목표다. 이는 요금은 올리기 어렵지만 공공자전거 수리비나 시설 운영비는 해마다 높아지다 보니 구조적으로 운영적자는 불가피하다.
<특성분석>
이는 공급된 공공자전거의 수량이 문제가 아니라 이용자의 이용패턴이 대중교통과 자가용을 대체하기 보다는 운동이나 여가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며 공유되고 있는 자전거의 활용도 문제에서 비롯됨으로 생각된다. 앞서 사업계획의 적정성 부분에서 언급했듯이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공공자전거의 공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접근방안>
현재는 완제품이 고가이고 (평균 300만원 이상)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공공기관 조달사업 참여를 통한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한다.
각 지자체 적자사업인 공공자전거의 대안으로서 접근할 예정이며 실적이 쌓여감에 따라 국내 B2B, 개인구매가 활성화 된 유럽시장 진출을 시도할 예정이다.
고가의 모듈형 배터리팩은 대기업 렌탈 프로그램 연동을 통한 시장확대를 모색할 예정이다.